분류 전체보기68 환율의 개념과 환율제도 환율의 개념과 표시방법1) 환율의 개념 환율의 정의 일반적으로 환율(exchange rate)은 외국통화 한 단위와 교환되는 자국통화의 상대적 가치로 정의된다.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원-달러 환율은 미화 1달러가 우리나라 원화 얼마만큼과 교환되는가를 나타낸다.환율의 의미환율이란 외국통화 한 단위를 수취하기 위하여 지불하여햐 하는 자국통화의 양을 나타낸다. 따라서 환율이란 외국통화의 국내통화표시가격을 의미한다. 환율의 상승과 하락환율상승(depreciation)은 외국통화 한 단위와 교환되는 국내통화의 양이 많아지므로 외국통화의 가격 즉, 가치가 상승하는 것을 의미한다. 이를 자국 통화 입장에서 보면 자국통화 한 단위와 교환되는 외국통화의 양이 적어지므로 자국통화의 가치가 하락 즉 자국통화가 평가절하(de.. 2023. 4. 29. 외환보유액의 의의 외환보유액의 의의 및 중앙은행의 역할 1) 외환보유액이란? 외환보유액은 중앙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외환과 정부가 운용하고 있는 외국환평형기금을 말한다. 정부가 국제수지 불균형을 보전하거나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보유하고 있는지급준비자산으로써 외국통화, 해외예치금, 외화증권, SDR(특별인출권) 등을 말한다. - 지급준비자산: 금, SDR(Special Drawing Rights)특별인출권, IMF포지션, 외환(달러,엔, 유로, 파운드) ※ IMF (International Monetary Fund) 국제금융기구브리튼우즈체제(세계대전)에서 각 국 수상들의 회의에서 개설된 국제기구(IBRD/IMF/GATT) 중 하나로 외환거래의 자유화 추진 및 국제통화 및 금융제도의 안정을 위해 .. 2023. 4. 29. 외환시장의 구조와 참가자 외환시장의 구조와 참가자1) 외환시장의 구조 외환시장은 외환거래의 성격에 따라 대고객 시장과 은행간 시장으로 구분 된다.- 대고객 시장 대고객 시장은 개인, 기업 및 정부가 수출입, 해외투자, 해외송금 등을 위해 은행과 외환을 매매할 때 형성되는 시장- 은행간 시장은행들이 외환포지션을 조정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외환의 매매가 이루어지는 시장. 은행은 일반고객과 거래과정에서 외환을 더 매입하거나 매도하게 되는 경우 환율변동이 발생하면 환위험을 부담 발생→ 환위험을 회피 목적으로 다른 은행에게 외환을 매도하거나 매입하는 포지션조정거래 시행 하게 됨. 대부분 전문화된 외환중개인을 통해 이루어 지는데 은행 간 거래는 거래규모가 크기 때문에 도매시장 성격을 가짐 * 우리나라 외환시장에서 은행간 거래우리나라 외환시장.. 2023. 4. 29. 외환시장의 의의와 특징 1. 외환이란?- 외국환어음*의 줄임말 (foreign exchange) *어음: 채권자에게 돈을 빌린 채무자가 작성하는 서류 - 다른국가에 있는 사람들 간에 국제거래를 결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환 - 일반적으로 외환은 한 국가에 있는 거주자가 타국의 거주자에 대해 보유한 화폐청구권을 표시하는 금융자산임 - 외환으로 은행권(각국 통화) 은행예치금, 환어음 또는 기타 고도의 유동성을 가진 청구권이 사용되며 그 중에서 은행예치금이 가장 주된 국제 지급의 매개 수단으로 사용 2. 외환의 종류 지급위탁방식 (고객 →은행) - 송금환 (돈 보내는 것)- 추심환 (돈 청구 받아주는 것)수취거래방식 (은행 ↔은행) - 당발환(외환거래의 시발점이 되는 은행)- 타발환외환매각·매도방식 (은행입장)- 매입환 (원화의.. 2023. 4. 29. 이전 1 ··· 14 15 16 17 다음